현대자동차, 투싼 부분변경 모델 '더 뉴 투싼' 디자인 공개
현대자동차의 글로벌 베스트셀링 SUV 투싼이 더욱 세련되고 강인한 포인트로 페이스리프트가 된다. 더 뉴 투싼은 20년 9월 출시되었던, 4세대 투싼의 상품 경쟁력 강화 모델로 3년 만에 새롭게 부분변경을 거치게 된다. 더 뉴 투싼은 기존 모델에 담긴 ‘파라메트릭 다이나믹스(Parametric Dynamics)’ 테마를 계승했다. 기존 투싼의 다부지고 와이드 한 이미지를 강화하고, 고급스럽고 하이테크 한 느낌을 주는 실내를 통해 더욱 완성도 높은 디자인으로 거듭났다.
'파라메트릭 다이나믹스' 테마 계승, 와이드 한 외관 디자인
전면디자인은 주간주행등 역할을 하는 파라메트릭 쥬얼 히든 램프와 라디에이터 그릴의 세부 그래픽을 얇고 각진 형태로 구현했다. 좌우로 뻗어 나가는 형상의 범퍼와 스키드 플레이트를 적용해서 강인하면서 넓어 보이는 느낌으로 존재감이 더 부각된다.
기존의 디자인이 얇고 삼각형태의 날카로운 형태로 프런트 그릴과 DRL이 일체형으로 보였던 디자인에서 약간의 터치를 거쳐서 단순화하고 깔끔한 인상이 눈에 들어온다. 후면디자인은 범퍼 몰딩과 일체화시킨 스키드 플레이트를 기존보다 가로 방향으로 확대해서 더 넓고 당당한 인상을 주며 세련되면서도 단단한 느낌으로 디자인해 전면부와 통일감을 주면서 안정감과 세련미가 느껴진다.
사이드 디자인은 는 역동성을 강조하면서 리어로 올라가면서 더 디자인에 볼륨감이 느껴진다. 특히 새롭게 디자인된 알로이 휠이 휠하우스를 전체적으로 꽉 채우면서 차량의 존재감을 더 부각한다. 단단하고 스포티한 인상의 캐릭터 라인과 조화가 되면서 전체적인 비례감이 좋아 보인다. 더 뉴 투싼은 2종의 신규 색상인 ‘파인 그린 매트’와 ‘얼티메이트 레드 메탈릭’을 포함한 총 9종의 외장 색상으로 판매할 예정이다.
수평 조형으로 신차 수준의 인테리어
제일 먼저 보이는 것은 현대 로고가 사라진 스티어링 휠과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다. 더 뉴 투싼에는 각각 12.3인치의 디지털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곡선의 형태로 연결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더 뉴 투싼의 실내는 신차 수준의 변화를 통해서 더 고급스럽고 하이테크 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아이오닉 5부터 바뀐 전체적인 현대자동차의 인테리어를 페이스리프트에 적용한 것이 인상 깊다. 수평적인 조형 중심의 설계로 넉넉한 공간을 제공하고 실용적인 인테리어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고 고급감을 향상시켰다. 물리 버튼을 제공하는 부분과 정전식 터치 방식이 균형 있게 조합되어 있는 인포테인먼트와 공조 조작계를 배치해서 개인적으로는 사용 편의성을 높은 형태를 적용해서 마음에 든다. 운전석에서 조수석까지 얇고 길게 연결된 에어벤트의 형태를 갖춤으로써 하이테크 한 감성을 더했고 조수석 전방의 대시보드에는 오픈 트레이를 제공하고 앰비언트 무드램프를 적용해서 안락한 느낌의 라운지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완성했다.
더 뉴 투싼에도 현대자동차의 전동화 모델들과 마찬가지로 컬럼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 적용해서 여유로워진 센터 공간에 플로팅 콘솔( 공중에 떠 있는 형태)을 구성해 수납성을 극대화했다. 스마트폰 무선 충전 시스템과 컵홀더를 병렬로 배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인 것도 특징이다. 실내 인테리어 컬러는 ‘그린과 블랙, 그레이 3 톤’을 새롭게 추가한 총 5종의 내장 컬러로 판매될 예정이다. 아마 하이브리드 모델이나 모델별로 제한적으로 컬러를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차를 사랑하는 아빠의 한마디!
싼타페, 쏘렌토를 고민하지만 실제적으로 아이가 1명인 경우에 충분한 모델인 투싼과 스포티지 모델은 디자인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모델들이다. 두 모델 모두 매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판매량도 적지 않은 모델이기 때문에 이 번 페이스리프트에 많은 신경을 쓴 모양이다. 요새 현대자동차의 페이스리프트는 상품성 개선을 하면서 디자인의 아이덴티티는 유지하는 편이라 좋다. 디자인이 중요한 게 아니라 차량의 상품성에 신경 쓴 모습이다. 기본적으로 외관디자인도 괜찮았던 모델이기 때문에 출시될 페이스리프트의 전체적인 모습을 다시 보고 싶다. 더 좋아진 실내는 가격인상이 예견되기는 한다. 결국 하이브리드 모델이 판매량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24년 초의 모델의 출시를 기대해 본다.
'차빠의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네시스, 그란 투리스모 버젼 ‘엑스(X) 그란 베를리네타 비전 콘셉트’ (0) | 2023.12.04 |
---|---|
기아, 봉고 LPG 터보 출시..굿바이 디젤 (0) | 2023.11.30 |
볼보, 순수 전기 모델 EX30 사전 예약(11/28) 시작 (0) | 2023.11.20 |
벤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더 뉴 GLE 400 E 4MATIC 쿠페’ 출시 (0) | 2023.11.17 |
토요타, 5세대 프리우스 사전계약 시작(12월 출시 예정) (0) | 2023.11.16 |